맨위로가기

박지수 (프로게이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지수는 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로, 2006년 르까프 OZ(이후 화승 OZ)에 입단하여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경력을 시작했다. 2008년 아레나 MSL에서 우승하며 '정복자'라는 별명을 얻었고, 2009년 KT 롤스터로 이적했다. 2010년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에서 은퇴한 후, 2011년 스타크래프트 II로 복귀하여 oGs, Millenium 등에서 활동하며 2014년 DreamHack Open: Winter에서 우승했다. 이후 2015년 Millenium을 떠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Old Generations의 선수 - 이창훈 (프로게이머)
    이창훈은 2001년부터 2008년까지 활동한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로, 개인 및 팀 단위 리그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며 특히 박성훈 선수와 함께 최우수 팀플레이상을 2회 연속 수상하며 최고의 팀플레이 조합으로 인정받았다.
  • Old Generations의 선수 - 최연식 (프로게이머)
    최연식은 STX SouL에서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로 활동하다가 은퇴 후 스타크래프트 II 게이머로 전향하여 활동했으며, IPL 3 4강, MLG Orlando 3위 등의 성적을 거두었다.
  • MSL 우승자 - 이제동
    이제동은 2006년 프로게이머로 데뷔하여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에서 저그 최강자로 군림하며 메이저 개인리그 5회 우승을 차지했고, 스타크래프트 II로 종목을 전환하여 활동하다 2016년 은퇴 후 아프리카TV에서 개인 방송을 시작했다.
  • MSL 우승자 - 강민 (프로게이머)
    강민은 독창적인 전략과 뛰어난 경기 운영으로 스타크래프트 역사상 최고의 선수 중 한 명으로 인정받았으며, 은퇴 후에는 e스포츠 해설가로 활동하며 e스포츠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인물이다.
  • 화승 OZ의 선수 - 이제동
    이제동은 2006년 프로게이머로 데뷔하여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에서 저그 최강자로 군림하며 메이저 개인리그 5회 우승을 차지했고, 스타크래프트 II로 종목을 전환하여 활동하다 2016년 은퇴 후 아프리카TV에서 개인 방송을 시작했다.
  • 화승 OZ의 선수 - 백동준
    백동준은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로, 브루드 워 프로게이머에서 전향하여 신인왕 수상 및 GSL 로열로더에 등극했으며 유재석 닮은 외모로 '국민토스'라는 별명을 얻은 대한민국 프로게이머이다.
박지수 (프로게이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박지수
IDForGG
본명박지수
로마자 표기Bak Ji-su
별명타임 어택커
개인 정보
출생1990년 2월 13일 (34세)
출생지경기도 남양주시
국적대한민국
프로게이머 정보
종족테란
게임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스타크래프트 II
아이디스타크래프트: Never_V_, ForGG
키보드삼성 DT-35 블랙
마우스케이텍 3500 블랙 + 케이텍 청패드
데뷔2006년
은퇴2015년
소속 팀
2006–2009Lecaf OZ
2009–2010KT 롤스터
2011–2012oGs
2012–2015Millenium

2. 선수 경력

2006년 상반기 드래프트에서 르까프 OZ(현 화승 OZ)의 5차 지명으로 입단하였다.[1] 2008년 7월, 르까프 소속으로 아레나 MSL에서 전 대회 준우승자 김구현(STX SouL), 당시 KeSPA 랭킹 1위였던 이영호(현 KT 롤스터), 팀 동료이자 전 대회 우승자 이제동(현 화승 OZ) 등을 연파하며 생애 첫 개인리그 우승을 차지하였다.[2]

박지수의 MSL 우승으로 화승 OZ는 테란 박지수, 저그 이제동, 프로토스 오영종 등 3종족 우승자를 모두 배출한 세 번째 팀이 되었다.[3] 우승 당시엔 낮은 지명도 탓에 "리그의 흥행을 망쳤다"는 비아냥을 듣기도 했으나,[4] 이후 '''정벅자''', '''정ㅋ벅ㅋ''' 등의 별명이 각종 커뮤니티에서 큰 호응을 얻으며 스타 플레이어로 재조명받았다.[4] 그의 공격적이고 정교한 플레이 스타일은 "타임 어택커"라는 별명을 안겨주었다.

2009년 3월 화승 OZ에서 KTF 매직엔스(현 KT 롤스터)로 이적하였다.[1] 2010년 12월 28일 갑작스럽게 은퇴를 선언했다.

2011년 9월 스타2 프로게임단 oGs에 입단하며 스타2 프로게이머로서의 생활을 선언했다.[1] 스타2에서도 테란으로 플레이했다.[1] 2012년 6월 28일 소속팀 해체 후 Millenium에 입단, 해외에서 활동했다.[3]

2014년 11월, DreamHack Open: Winter에서 우승하며 이제동과 이영호에 이어 스타크래프트 II에서 주요 토너먼트에서 우승한 세 번째 브루드 워 챔피언이 되었다. 2015년 12월 4일 밀레니엄과의 계약이 종료되었다.[1]

2. 1. 스타크래프트 (2006년 ~ 2010년)

화승 OZ에 입단한 박지수는 2008년 아레나 MSL에서 KeSPA 랭킹 1위였던 이영호와 전 대회 우승자 이제동을 꺾고 우승하며 주목받았다.[2] 이 우승으로 화승 OZ는 테란, 저그, 프로토스 3종족 우승자를 모두 배출한 팀이 되었다.[3] 우승 당시 낮은 인지도로 '리그 흥행을 망쳤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지만, 이후 '정벅자', '정ㅋ벅ㅋ' 등의 별명이 인기를 얻으며 스타 플레이어로 재조명되었다.[4] 그의 공격적인 플레이는 '타임 어택커'라는 별명으로도 불렸다. 2009년 3월 KT 롤스터로 이적하였고,[1] 2010년 12월 28일 은퇴를 선언했다.

2. 1. 1. 르까프 OZ / 화승 OZ (2006년 ~ 2009년)

2006년 상반기 드래프트에서 르까프 OZ의 5차 지명으로 입단하였다.[1]

2008년 7월, 르까프 소속으로 아레나 MSL에 참가하여 전 대회 준우승자 김구현(STX SouL), 당시 KeSPA 랭킹 1위였던 이영호(현 KT 롤스터), 팀 동료이자 전 대회 우승자 이제동(현 화승 OZ) 등을 연파하며 생애 첫 개인리그 우승을 차지하였다.[2] 이 우승으로 화승 OZ는 테란 박지수, 저그 이제동, 프로토스 오영종 등 3종족 우승자를 모두 배출한 세 번째 팀이 되었다.[3]

당시 박지수는 낮은 지명도 탓에 "리그의 흥행을 망쳤다"는 비아냥을 듣기도 했으나,[4] 이후 '''정벅자''', '''정ㅋ벅ㅋ''' 등의 별명이 e스포츠 팬 커뮤니티에서 큰 인기를 얻으며 스타 플레이어로 재조명받았다.[4]

아레나 MSL 4강에서 이영호를 3:1로 꺾고 결승에 진출, 이제동과의 결승전을 성사시킨 박지수는, 당시 KeSPA 랭킹 1, 2위였던 이영호와 이제동의 결승 대결을 기대했던 많은 팬들에게 "맥이 빠진다"는 반응을 얻었다. 여기에는 "같은 팀원 간의 결승은 긴장감이 없다"는 기존 인식도 작용했다.

결승전에서 '본좌' 후보이자 스타 플레이어였던 이제동마저 3: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하자, 이제동의 연속 우승을 바라던 팬들은 실망감을 표현했다. 게다가 결승 당일 악천후로 인해 이원생방송 장소였던 서울 야외수영장의 객석이 텅 비었고, 시상을 맡은 아레나 김찬회 상무가 한동안 무대에 나타나지 않는 등 여러 해프닝이 겹치면서, 아레나 MSL 결승전은 흥행 참패 사례로 언급되기도 했다.

박지수는 '리그 브레이커', '흥행 어태커' 등의 부정적인 별명을 얻었고, 인크루트 스타리그에서 비슷한 행보를 보였던 정명훈(SK 텔레콤 T1) 역시 '리그 테러리스트', '오사마 정라덴', '정라덴'('정명훈'과 '빈라덴'의 합성어) 등의 별명을 얻었다.

그러나 우승 이후 박지수는 향상된 기량을 선보이며 팬들의 호감을 얻었고, '''정벅자 칭기즈벅''', '''정ㅋ벅ㅋ''' 등의 별명이 유행하며 '대세'로 떠올랐다. 2009년 3월, 화승 OZ에서 별다른 출전 기회를 얻지 못하고 KTF 매직엔스로 이적한 박지수에게 많은 팬들이 동정과 지지를 보냈고, 이후 박지수는 높은 인기를 누렸다.

포모스를 비롯한 각종 e스포츠 매체에서는 박지수의 별명인 '정벅자'를 적극 활용했고, MBC게임 역시 MSL, 프로리그에서 박지수가 출전하거나 승리할 때 Foo Fighters의 The Pretender(아레나 MSL 오프닝 테마곡)를 배경음악으로 사용했다. MSL 조지명식에서는 박지수의 이력을 '''아레나 MSL 정복'''으로 소개하기도 했다.

'정벅자 칭기즈벅'이라는 별명은 디시인사이드 스타크래프트 갤러리에서 처음 만들어졌으며, 디시인사이드에는 박지수를 위한 별도 갤러리가 개설되었다. 그러나 박지수 본인은 '칭기즈벅'('칭기즈칸'과 '벅'의 합성어)이라는 별명을 가졌음에도 칭기즈칸이 누구인지 몰랐다고 한다.

2. 1. 2. KT 롤스터 (2009년 ~ 2010년)

2009년 3월 화승 OZ에서 KTF 매직엔스(현 KT 롤스터)로 이적하였다.[1] 이후 2010년 12월 28일 은퇴할 때까지 KT 롤스터 소속으로 활동했다.

2. 1. 3. 돌연 은퇴 (2010년)

2010년 12월 28일, 박지수는 갑작스럽게 은퇴를 선언했다.

2. 2. 스타크래프트 II (2011년 ~ 2015년)

2010년 12월 28일, 박지수는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에서 갑작스럽게 은퇴를 선언했다.[1] 2011년 9월, oGs에 입단하며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로 복귀하여 테란 종족으로 플레이했다. 2012년 6월 28일, Millenium에 입단하여 해외에서 활동했다. 2014년 11월에는 DreamHack Open: Winter에서 우승하며 스타크래프트: 브루드워와 스타크래프트 II 양대 리그에서 모두 우승한 세 번째 선수가 되었다. 2015년 12월 4일, Millenium과의 계약이 종료되었다.[1]

2. 2. 1. oGs (2011년 ~ 2012년)

2011년 9월, 박지수는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임단 oGs에 입단하며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로 복귀했다.[1]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시절과 마찬가지로 테란을 선택하여 플레이했다.[1] 2012년 GSL 시즌 1에서 코드 A를 통과하며 코드 S에 데뷔했다.[2]

2. 2. 2. Millenium (2012년 ~ 2015년)

oGs 해체 후, 2012년 6월 28일 프랑스 팀 Millenium에 입단하며 해외에서 활동하였다.[3] Millenium 입단으로 다양한 유럽 토너먼트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고, 처음 참가한 ASUS Rog Summer 2012에서 3위를 차지하였다.[3]

2014년 11월 30일 스웨덴 이완최핑 엘미야 전시장에서 열린 2014 DreamHack Open: Winter 결승전에서 이승현을 상대로 4:2로 승리하며 스타크래프트 2 전향 이후 첫 개인리그 우승을 차지하였다.[1] 이 우승으로 이제동과 이영호에 이어 세 번째로 스타크래프트: 브루드워 개인리그 우승자 출신으로 스타크래프트 II 프리미어급 대회에서 우승한 선수가 되었다.[1]

2015년 12월 4일, 한국으로 돌아온 박지수는 3년 이상 몸담았던 Millenium과의 계약이 종료되었다.[1]

3. 주요 대회 성적

'''메이저 개인리그 우승 1회'''[5], '''프리미어 개인리그 우승 1회, 준우승 2회'''[6]

종목연도대회결과상대비고
스타크래프트2005년키주 이벤트 리그우승
스타크래프트2006년제20회 커리지 매치입상
스타크래프트2006년제5회 주장원전 C조1위
스타크래프트2007년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324강
스타크래프트2007년곰TV MSL 시즌316강
스타크래프트2008년곰TV MSL 시즌432강
스타크래프트2008년곰TV TG삼보-인텔 클래식 2008 시즌18강
스타크래프트2008년아레나 MSL 2008우승이제동3:0
스타크래프트2008년인크루트 스타리그36강
스타크래프트2008년클럽데이 온라인 MSL16강
스타크래프트2008년곰TV TG삼보-인텔 클래식 2008 시즌232강
스타크래프트2009년로스트사가 MSL 20098강
스타크래프트2009년아발론 온라인 MSL 200916강
스타크래프트2009년EVER 스타리그 200936강
스타크래프트2009년NATE MSL 200932강
스타크래프트2010년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18강
스타크래프트2010년빅파일 MSL 20108강
스타크래프트2010년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시즌236강
스타크래프트2010년박카스 스타리그 201036강
스타크래프트2010년피디팝 MSL 201032강
스타크래프트 II2011년2011 소니 에릭슨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Nov. Code A12강
스타크래프트 II2012년2012 핫식스 2012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1 Code S32강
스타크래프트 II2012년2012 핫식스 2012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2 Code S32강
스타크래프트 II2012년2012 무슈제이 2012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3 Code A32강
스타크래프트 II2012년ASUS ROG Summer 20123위
스타크래프트 II2012년Campus Party Europe4강
스타크래프트 II2012년Numericable M-House Cup 2준우승
스타크래프트 II2012년Millenium Show Cup우승
스타크래프트 II2012년Electronic Sports World Cup 2012준우승
스타크래프트 II2012년DreamHack Open: Valencia준우승
스타크래프트 II2013년2013 WCS 유럽 시즌 1 프리미어리그4강2013 WCS 시즌 1 파이널 진출
스타크래프트 II2013년2013 WCS Season1 TG삼보-Intel Finals8강
스타크래프트 II2013년2013 WCS 유럽 시즌 2 프리미어리그32강
스타크래프트 II2013년2013 WCS 유럽 시즌 2 챌린저리그40강
스타크래프트 II2013년2013 DreamHack Open: Bucharest8강
스타크래프트 II2013년2013 WCS 유럽 시즌 3 프리미어리그16강
스타크래프트 II2013년2013 WCS 유럽 시즌 3 챌린저리그16강
스타크래프트 II2013년2013 DreamHack Open: Winter16강
스타크래프트 II2013년Numericable M-House Cup 34위
스타크래프트 II2013년Dailymotion Cup 20134위
스타크래프트 II2014년ASUS ROG Winter 20144강
스타크래프트 II2014년IEM Season VIII - Cologne16강
스타크래프트 II2014년Gamers Assembly 2014우승
스타크래프트 II2014년2014 WCS 유럽 시즌 1 프리미어리그32강
스타크래프트 II2014년Fragbite Masters 2014 Spring8강
스타크래프트 II2014년DreamHack Open: Summer16강
스타크래프트 II2014년2014 WCS 유럽 시즌 2 프리미어리그4강
스타크래프트 II2014년2014 DreamHack Open: Valencia32강
스타크래프트 II2014년2014 DreamHack Open: Stockholm4강
스타크래프트 II2014년2014 WCS 유럽 시즌 3 프리미어리그8강
스타크래프트 II2014년2014 DreamHack Open: Winter우승이승현4:2
스타크래프트 II2014년IEM Season IX - San Jose8강
스타크래프트 II2015년IEM Season IX - Taipei16강
스타크래프트 II2015년2015 WCS 시즌 1 프리미어리그8강
스타크래프트 II2015년2015 DreamHack Open: Tours32강
스타크래프트 II2015년2015 WCS 시즌 2 프리미어리그16강
스타크래프트 II2015년IEM Season X - gamescom8강
스타크래프트 II2015년2015 WCS 시즌 3 프리미어리그4강


3. 1. 스타크래프트

2006년 상반기 드래프트에서 르까프 OZ(현 화승 OZ)의 5차 지명으로 입단하였다.[5]

2008년 7월, 르까프 소속으로 아레나 MSL에 참가하여 전 대회 준우승자 김구현(STX SouL), 당시 KeSPA 랭킹 1위였던 이영호(현 KT 롤스터), 팀 동료이자 전 대회 우승자 이제동(현 화승 OZ) 등을 연파하며 생애 첫 개인리그 우승을 차지하였다.[5]

박지수의 MSL 우승으로 화승 OZ는 테란(박지수), 저그(이제동), 프로토스(오영종) 3종족 우승자를 모두 배출한 세 번째 팀이 되었다.[5]

우승 당시에는 낮은 지명도로 인해 "리그의 흥행을 망쳤다"는 비아냥을 듣기도 했으나, 이후 '''정벅자''', '''정ㅋ벅ㅋ''' 등의 별명이 각종 커뮤니티에서 큰 호응을 얻으며 스타 플레이어로 재조명받았다.[5]

2009년 3월, 화승 OZ에서 KTF 매직엔스(현 KT 롤스터)로 이적하였다.[5]

2010년 12월 28일, 갑작스럽게 은퇴를 선언했다.[5]

'''메이저 개인리그 우승 1회'''[5]

연도대회결과상대비고
2005년키주 이벤트 리그우승
2006년제20회 커리지 매치입상
2006년제5회 주장원전 C조1위
2007년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324강
2007년곰TV MSL 시즌316강
2008년곰TV MSL 시즌432강
2008년곰TV TG삼보-인텔 클래식 2008 시즌18강
2008년아레나 MSL 2008우승이제동3:0
2008년인크루트 스타리그36강
2008년클럽데이 온라인 MSL16강
2008년곰TV TG삼보-인텔 클래식 2008 시즌232강
2009년로스트사가 MSL 20098강
2009년아발론 온라인 MSL 200916강
2009년EVER 스타리그 200936강
2009년NATE MSL 200932강
2010년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18강
2010년빅파일 MSL 20108강
2010년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시즌236강
2010년박카스 스타리그 201036강
2010년피디팝 MSL 201032강


3. 2. 스타크래프트 II

2011년 9월 스타2 프로게임단 oGs에 입단하며 스타2 프로게이머로서의 생활을 선언했고, 스타2에서도 종족은 테란으로 플레이하였다.[6] 소속팀이 해체된 후 2012년 6월 28일 밀레니엄에 입단, 해외에서 활동하다가 2015년 12월 4일 밀레니엄과의 계약이 종료되었다.

2014년 11월 30일 스웨덴 이완최핑 엘미야 전시장에서 열린 2014 DreamHack Open: Winter에 출전한 박지수는 결승전에서 이승현을 상대로 4:2로 승리하여 스타크래프트 2 전향 이후 첫 개인리그 우승을 차지했다.[6] 박지수는 2014 DreamHack Open: Winter에서 우승을 기록함으로써 이제동과 이영호에 이어 세 번째로 스타크래프트: 브루드워 개인리그 우승자 출신 선수로 스타크래프트 II 프리미어급 대회 우승에 성공한 선수가 되었다.

'''프리미어 개인리그 우승 1회, 준우승 2회'''[6]

연도대회결과비고
2011년2011 소니 에릭슨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Nov. Code A12강
2012년2012 핫식스 2012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1 Code S32강
2012년2012 핫식스 2012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2 Code S32강
2012년2012 무슈제이 2012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3 Code A32강
2012년ASUS ROG Summer 20123위
2012년Campus Party Europe4강
2012년Numericable M-House Cup 2준우승
2012년Millenium Show Cup우승
2012년Electronic Sports World Cup 2012준우승
2012년DreamHack Open: Valencia준우승
2013년2013 WCS 유럽 시즌 1 프리미어리그4강2013 WCS 시즌 1 파이널 진출
2013년2013 WCS Season1 TG삼보-Intel Finals8강
2013년2013 WCS 유럽 시즌 2 프리미어리그32강
2013년2013 WCS 유럽 시즌 2 챌린저리그40강
2013년2013 DreamHack Open: Bucharest8강
2013년2013 WCS 유럽 시즌 3 프리미어리그16강
2013년2013 WCS 유럽 시즌 3 챌린저리그16강
2013년2013 DreamHack Open: Winter16강
2013년Numericable M-House Cup 34위
2013년Dailymotion Cup 20134위
2014년ASUS ROG Winter 20144강
2014년IEM Season VIII - Cologne16강
2014년Gamers Assembly 2014우승
2014년2014 WCS 유럽 시즌 1 프리미어리그32강
2014년Fragbite Masters 2014 Spring8강
2014년DreamHack Open: Summer16강
2014년2014 WCS 유럽 시즌 2 프리미어리그4강
2014년2014 DreamHack Open: Valencia32강
2014년2014 DreamHack Open: Stockholm4강
2014년2014 WCS 유럽 시즌 3 프리미어리그8강
2014년2014 DreamHack Open: Winter우승(4:2 이승현)
2014년IEM Season IX - San Jose8강
2015년IEM Season IX - Taipei16강
2015년2015 WCS 시즌 1 프리미어리그8강
2015년2015 DreamHack Open: Tours32강
2015년2015 WCS 시즌 2 프리미어리그16강
2015년IEM Season X - gamescom8강
2015년2015 WCS 시즌 3 프리미어리그4강


4. 별명


  • 납가이 : 박성준의 별명 '은가이'에서 유래했다. 박성준과 닮은 선수들에게 붙여진 '금속류 + -가이' 형태의 별명 중 하나로, 박재혁은 동가이, 이성은은 철가이 등으로 불렸다.
  • 벅지수 : 몰수패 사건에서 유래된 별명으로, '벅'은 버그(Bug)의 줄임말이다. 강민과의 경기에서 규정에 어긋난 버그를 사용해 몰수패를 당했다.[1]
  • 타임 어택커 : 아레나 MSL 당시 MBC게임에서 지어준 별명으로, 절묘한 타이밍 공격에 능한 박지수의 플레이 스타일을 반영한다.
  • 정복자 : 아레나 MSL 우승 후 "리그를 정복했다"는 의미로 붙여진 별명이다.
  • 정벅자 : '정복자'와 마찬가지로 아레나 MSL 우승을 기념하는 별명이지만, '복'을 '벅'으로 대체하여 몰수패 사건을 연상시킨다.
  • 정ㅋ벅ㅋ : 박지수의 팬들이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사용하며 유행어가 된 별명이다. 글자 사이의 'ㅋ'는 당시 유행하던 '우왕ㅋ굳ㅋ'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 밥벌레 : '연봉도둑'이라는 뜻과 몰수패 사건이 합쳐져 만들어진 별명이다.

5. 기타


  • 2006년 상반기 드래프트 당시, 박지수는 KOR(현 하이트 스파키즈)의 입단 테스트를 치렀으나, 이미 정원을 채운 KOR은 박지수를 지명하지 않았다. 이후 조정웅 감독이 그를 픽업하여 르까프 OZ(현 화승 OZ)에 입단하게 되었다.[1]
  • 2008년 8월 8일, 박지수는 하루에 8번의 방송경기를 치렀다. 오후엔 WCG 2008 스타크래프트 국가대표 선발전에서 김택용(SK 텔레콤 T1)과 대결했고, 저녁엔 인크루트 스타리그 2008 36강에 참가했다. 국가대표 선발전에서 김택용을 2:0으로, 스타리그 36강 1차전에선 서경종(MBC게임 히어로)을 2:1로 꺾었으나, 2차전에서 박영민(현 공군 ACE)에게 1:2로 역전패하며 16강 진출에 실패했다. 일부 팬들은 이날의 과도한 경기 스케줄 편성에 유감을 표하기도 했다.[2]
  • 2008년 9월 6일, 박지수는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 올스타전 5세트에서 김구현과 대결하기로 예정되어 있었으나, 올스타전 며칠 전 숙소 계단에서 넘어지는 부상을 당해 손주흥이 대신 출전하여 경기를 가졌다. 경미한 부상이었다고 밝힌 박지수는 이후 클럽데이 온라인 MSL 조지명식엔 예정대로 참석했다.[3]
  • 아레나 MSL에서 이제동을 꺾고 우승한 박지수는 '리그 브레이커', '흥행 어태커' 등 부정적인 별명을 얻었으나, 이후 발전된 기량을 보여주면서 '''정벅자 칭기즈벅''', '''정ㅋ벅ㅋ''' 같은 별명들이 유행하며 '대세'로 떠올랐다.[1] 디시인사이드의 스타크래프트 갤러리에서 처음 만들어진 '정벅자 칭기즈벅' 별명은 박지수를 위한 별도의 갤러리도 개설하게 했다. 그러나 박지수 본인은 '칭기즈벅'('칭기즈칸'과 '벅'의 합성어)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음에도 칭기즈칸이 누구인지 몰랐다고 한다.[1] 포모스를 비롯한 e스포츠 관련 매체들은 박지수의 별명인 '정벅자'를 적극적으로 활용했고, MBC게임 역시 박지수가 출전하거나 승리할 때 Foo Fighters의 The Pretender(아레나 MSL 오프닝 테마곡)를 배경음악으로 사용했다. MSL 조지명식에서는 박지수의 이력을 '''아레나 MSL 정복'''으로 소개하기도 했다.[1]

5. 1. 몰수패 사건

2007년 10월 18일, 박지수는 곰TV MSL 시즌3 16강에서 강민과 경기를 가졌다. 당시 세트 스코어 1:1 상황에서 마지막 3세트가 시작되었고, 박지수는 기습적인 3배럭스 전략과 함께 정찰용 SCV를 강민의 본진으로 보냈다. 그러나 입구에 이미 배치되어 있던 프로브에 의해 정찰은 실패했고, 이때 박지수는 C키를 연타하며 SCV를 그 뒷편으로 난입시켰다. 이 플레이는 미네랄을 캔 SCV로 주변을 우클릭하면서 C키를 연타하면 전진을 막는 상대방 유닛을 통과할 수 있는 버그를 이용한 것이었다.

이를 목격한 KTF의 김철 감독이 이의를 제기했고, 경기를 중단시킨 심판은 박지수가 고의적으로 버그성 플레이를 했다고 판단하여 몰수패 판정을 내렸다. 이는 e스포츠 사상 6번째 몰수패였으며, 강민은 곧바로 8강에 진출했다.

박지수가 시도했던 일꾼 난입 플레이는 2007년 4월 김창희가 서바이버 토너먼트 승자전에서 박성훈에게 시전하여 논란이 된 이후 금지된 버그였다.

5. 2. 정벅자 칭기즈벅

아레나 MSL에서 이제동을 꺾고 우승한 박지수는 '리그 브레이커', '흥행 어태커' 등 부정적인 별명을 얻었다. 그러나 우승 이후 발전된 기량을 보여주면서 팬들은 점차 호감을 가지게 되었고, '''정벅자 칭기즈벅''', '''정ㅋ벅ㅋ''' 같은 별명들이 유행하며 박지수는 '대세'로 떠올랐다.[1]

비슷한 시기, 인크루트 스타리그에서 비슷한 행보를 보였던 정명훈 역시 '리그 테러리스트', '오사마 정라덴', '정라덴'('정명훈'과 '빈라덴'의 합성어) 등의 별명을 얻기도 했다.[1]

'정벅자 칭기즈벅'이라는 별명은 디시인사이드의 스타크래프트 갤러리에서 처음 만들어졌으며, 디시인사이드에는 박지수를 위한 별도의 갤러리도 개설되었다. 그러나 박지수 본인은 '칭기즈벅'('칭기즈칸'과 '벅'의 합성어)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음에도 칭기즈칸이 누구인지 몰랐다고 한다.[1]

포모스를 비롯한 e스포츠 관련 매체들은 박지수의 별명인 '정벅자'를 적극적으로 활용했고, MBC게임 역시 박지수가 출전하거나 승리할 때 Foo Fighters의 The Pretender(아레나 MSL 오프닝 테마곡)를 배경음악(BGM)으로 사용했다. MSL 조지명식에서는 박지수의 이력을 '''아레나 MSL 정복'''으로 소개하기도 했다.[1]

5. 3. 트리비아


  • 2006년 상반기 드래프트 당시, 박지수는 사전에 KOR(현 하이트 스파키즈)의 입단 테스트를 치렀다. 그러나 이미 정원을 채운 KOR은 박지수를 지명하지 않았고, 조정웅 감독이 그를 픽업하여 르까프 OZ(현 화승 OZ)의 유니폼을 입게 되었다.[1]
  • 2008년 8월 8일, 박지수는 하루에만 8번의 방송경기를 치렀다. 오후엔 WCG 2008 스타크래프트 국가대표 선발전에서 김택용(SK 텔레콤 T1)과 대결했고, 저녁엔 인크루트 스타리그 2008 36강에 참가했다. 국가대표 선발전에서 김택용을 2:0으로, 스타리그 36강 1차전에선 서경종(MBC게임 히어로)을 2:1로 꺾었으나, 2차전에서 박영민(현 공군 ACE)에게 1:2로 역전패하며 16강 진출에 실패했다. 일부 팬들은 이날의 과도한 경기 스케줄 편성에 유감을 표하기도 했다.[2]
  • 2008년 9월 6일, 박지수는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 올스타전 5세트에서 김구현과 대결하기로 예정되어 있었다. 그러나 올스타전 며칠 전 숙소 계단에서 넘어지는 부상을 당했고, 손주흥이 대신 출전하여 경기를 가졌다. 경미한 부상이었다고 밝힌 박지수는 이후 클럽데이 온라인 MSL 조지명식엔 예정대로 참석했다.[3]

참조

[1] 뉴스 ROG Assembly Summer Preview https://www.sk-gamin[...] 2021-05-02
[2] 웹사이트 fOrGG retires from progaming http://www.sk-gaming[...] 2016-02-10
[3] 웹사이트 SC2 : Millenium accueille fOrGG http://www.millenium[...] 2016-02-10
[4] 웹사이트 박지수, 군 문제로 밀레니엄과 재계약 불발 http://esports.daily[...] 2016-02-10
[5] 문서 MSL 1회 우승
[6] 문서 드림핵 1회 우승, 1회 준우승. ESWC 1회 준우승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